CS/Network29 [네트워크] HTTP와 HTTPS HTTP(HyperText Transfer Protocol) - 웹 상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Request/Response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 - 주로 HTML 문서를 주고 받음 - TCP와 UDP를 사용 - 80번 포트 사용 - 비연결성(Connectionless) - 무상태성(Stateless) 1) 비연결성(Connectionless) -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전송하고 서버가 이에 대한 응답을 하면 바로 연결이 끊어지는 특성 2) 무상태성(Stateless) - 연결을 끊어진 후에 상태 정보를 유지하지 않는 특성 HTTPS(HyperText Transfer Protocol over Secure Socket Layer) - HTTP에서 보안이 강화된 버전의 프로토콜 - TCP/IP.. 2020. 6. 24. [네트워크] TCP(Transport Control Protocol) TCP(Transport Control Protocol) - TCP는 전송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로 연결형 서비스 - 장치들 사이에 논리적인 접속을 성립하기 위해 연결을 설정해 신뢰성을 보장 - 연결을 설정/해제하는 과정 필요 1) 3-way-handshake - TCP 통신에서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 (1) Client -> Server : SYN - 접속 요청 프로세스(Client)가 연결 요청 메시지 전송(SYN) - 송신자가 최초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Sequence Number을 난수로 지정하고, SYN 플래그 비트를 1로 설정한 세그먼트 전송 (2) Server -> Client : SYN + ACK - 접속 요청을 받은 프로세스(Server)가 요청을 수락했으며, 접속 요청 프로세스(Clie.. 2020. 6. 24. [네트워크]TCP와 UDP TCP와 UDP 전송 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TCP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) -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를 세그먼트로 보내기 위해 IP와 함께 사용하는 프로토콜 - 연결형 서비스로 가상회선방식 사용(3-way-handshake, 4-way-handshake) - 흐름제어와 혼잡제어 제공 - 높은 신뢰성 보장 - UDP에 비해 느린 속도 - 전이중(Full-Duplex), 점대점(Point-to-Point) 방식 - 멀티캐스팅이나 브로드캐스팅을 지원하지 않음 UDP(User Datagram Protocol) - 데이터를 데이터그램 단위로 처리하는 프로토콜 - 비연결형 서비스로 데이터그램방식 제공 - 데이터를 주고받기위해 연결을 설정/해제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음 - 각 패킷은 .. 2020. 6. 24. [네트워크] TCP/IP 프로토콜(Protocol) - 네트워크 상에서 지켜야할 통신 규약 - 데이터 송신측과 수신측이 사용하는 규칙을 정한 뒤 데이터를 송수신해야하는데, 이 규칙을 프로토콜이라 함 1) 프로토콜이 하는 일 (1) 데이터의 내용을 결정 (2) 데이터의 헤더를 결정 (3) 데이터를 주고받는 순서 결정 TCP/IP 1) IP(Interent Protocol) - 인터넷에서 컴퓨터의 위치를 찾아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지켜야할 규약 - 모든 컴퓨터가 인터넷을 하기위해 서로 구별할 수 있도록 논리적인 주소 IP Address라고 함 2) TCP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) - IP로 컴퓨터의 위치를 찾은 다음 정보를 전달 - 인터넷을 패킷을 통해 정보를 전달하므로 패킷을 전달하는 규약이 필요 .. 2020. 6. 24. [네트워크] OSI 7 계층 OSI 7 계층(Open System Interconnection 7 Layer) -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 - 게층을 나눔으로써 통신이 진행되는 과정을 단계별로 파악 가능 1) 물리 계층(Physical Layer) - 전기적, 기계적, 기능적 특성으 이용해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 전송 - 데이터 전송만을 담당 - 통신 장비로는 케이블, 리피터, 허브 등이 있음 - 전송 단위는 비트(bit) 2) 데이터 링크 계층(Datalink Layer) - 물리적인 연결을 통해 장치 간 신뢰성있는 정보 전송 - 에러 검출, 흐름 제어, 프레임 동기화 수행 - 물리적인 주소 값인 Mac Address 할당 - 대표적으로 이더넷이 있음 - 전송 단위는 프레임(Frame) 3) 네트워크 계.. 2020. 6. 24. 이전 1 2 3 다음